기원전 9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90년은 서력 기원전 90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마르쿠스 율리우스 실라가 미트리다테스 6세에 대항하여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을 시작했고, 흉노가 한나라를 침략했다. 로마 공화국에서는 사회 전쟁이 계속되었으며, 율리아 법이 제정되어 이탈리아인에게 시민권을 부여했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 디오니시오스 트락스, 이연년 등이 있으며, 아울루스 히르티우스, 디오도루스 시쿨루스 등이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기원전 90년 | |
---|---|
기원전 90년 | |
연대 | 기원전 90년대 |
세기 | 기원전 1세기 |
주요 사건 | |
사건 | 기원전 90년: 사회 전쟁 발발 기원전 90년: 로마 공화정의 콘술,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가 선출되다. 기원전 90년: Lex Iulia 법 제정. 로마에 충성을 맹세한 모든 이탈리아인들에게 로마 시민권이 주어지다. |
출생 |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로마의 정치가 (사망: 기원전 64년) 아이밀리우스 마케도니쿠스 (대략적인 연도) 아우루스 히르티우스 (대략적인 연도) |
사망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그리스의 역사가 (대략적인 연도) 안티오코스 11세 에피파네스,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 (전사) 마르쿠스 바에디우스 (전사)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 (자살) |
2. 연호
3. 기년
4. 사건
기원전 90년에는 다음과 같은 사건들이 있었다.
- 마르쿠스 율리우스 실라가 폰토스 왕국의 미트리다테스 6세에 대항하여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을 시작했다.[1]
- 니코메데스 4세는 형제 소크라테스와 폰토스의 미트리다테스 6세 연합군에게 전투에서 패배하여 로마로 도주했다.
- 시리아 왕국의 안티오코스 10세가 셀레우코스 왕조의 왕위를 되찾았다.
-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1세가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9세와 결혼했다.
- 로마 공화국에서는 사회 전쟁이 계속되었고, 에트루리아인에게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으며, ''율리아 법''(Lex Iulia)을 통해 로마에 반대하지 않은 이탈리아인에게도 시민권이 부여되었다.[1]
- 한나라에서는 흉노와의 전쟁이 계속되었고, 이광리가 항가이 산맥에서 호르호 차뉴에게 패배하여 항복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
더 자세한 내용은 각 지역별 하위 섹션(=== 로마 공화국 ===, === 동아시아 ===, === 소아시아 ===)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동아시아
- 기원전 90년 흉노는 내몽골 오원군과 주천군을 침략하여 두 군의 군사령관을 살해하였다.
- 한 무제는 대장군 이광리, 마통, 상추성을 흉노에 대항하는 세 군대로 파견하여 각각 오원, 주천, 서하에서 출병하게 하였다. 한나라의 중앙아시아 속국 군대가 성면의 지휘 하에 반역 혐의를 받는 거사국의 왕을 생포하였다. 흉노 대장군과 전 한나라 장군 이릉은 상추성의 군대와 뚜렷한 승패 없이 전투를 벌였다.
- 이광리와 그의 사돈인 재상 유구모는 이광리의 조카인 유보를 새로운 황태자로 추천하려 하였다. 이광리가 원정 중일 때 유구모와 그의 아내는 황제를 저주하고 유보로 대체하려 한 혐의로 처형되었고, 이광리의 아내는 투옥되었다.
- 황제를 기쁘게 하려는 이광리는 7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셀렝가 강까지 진격하였다. 별동대가 강을 건너 흉노 좌대장군 휘하의 2만 명의 군대를 격파하고, 좌대장군은 전사하였다. 그러나 이광리는 항가이 산맥에서 호르호 차뉴의 5만 군대에게 패배하여 항복하였다. 이광리는 호르호의 딸과 결혼하고, 한 무제는 이광리의 일족을 몰살시켰다.[1]
4. 2. 로마 공화국
- 사회 전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폼페이우스 스트라보와 가이우스 마리우스가 두각을 나타냈다.[1]
- 에트루리아인들에게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다.[1]
- 이탈리아 중남부에 위치한 코르피니움은 로마에 대한 반란의 중심지였다.[1]
- ''율리아 법''(Lex Iulia)은 사회 전쟁 동안 로마에 반대하지 않은 모든 이탈리아인에게 시민권을 부여했다.[1]
- 키케로는 로마군에서 복무를 시작했다.[1]
- 집정관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스트라보와 루키우스 포르키우스 카토가 사망했다.[1]
- 집정관 푸블리우스 율리우스가 사망했다.[1]
- 팔루스 가문의 푸블리우스 팔루스가 로마 공화국의 집정관이 되었다.[1]
- 고대 로마의 법무관이자 정치가인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가 사망했다.[1]
- 집정관: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1]
4. 3. 소아시아
- 마르쿠스 율리우스 실라가 폰토스 왕국의 미트리다테스 6세에 대항하여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을 시작했다.[1]
- 니코메데스 4세는 형제 소크라테스와 폰토스의 미트리다테스 6세 연합군에게 전투에서 패배하여 로마로 도주했다.
- 시리아 왕국의 안티오코스 10세가 셀레우코스 왕조의 왕위를 되찾았다.
4. 4. 기타
5. 탄생
6. 사망
-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 셀레우코스 제국의 군주 (추정)
- 디오니시오스 트락스, 고대 그리스의 문법학자 (기원전 170년 출생)
- 이연년, 중국 음악가 (한 무제에 의해 처형)
- 파르나욤, 이베리아 왕국의 왕 (현재 조지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